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자생식물

새모래덩굴

풀닝 2019. 7. 2. 23:44
728x90

새모래덩굴 잎(앞면)
새모래덩굴 잎(뒷면)
새모래덩굴 줄기

# 새모래덩굴(촬영지 - 포항) - 2019년 6월 촬영

새모래덩굴(미나리아재비목-새모래덩굴과)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서식환경 : 산기슭 양지바른 곳

형태 : 줄기에 털이 없고 길이 1~3m 정도로 자란다.

잎은 호생(어긋나기)하며, 엽두의 형태는 첨두, 엽저의 유형은 심장저로 3~7각이다.

잎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3cm 정도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엽병은 가장자리로부터 6~10mm 떨어져서 방패처럼 달리고 길이 3~10mm이다. 

꽃은 4~6월에 암수딴포기로 피며, 잎 겨드랑이에서 난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 9~10월에 검게 익는다.

 

후..ㅎㅎ 직장 생활하면서 포스팅을 하기가 수월하지가 않네요^^;; 그래도 이번에는 새모래덩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ㅎㅎ 이름이 왜 '새모래덩굴' 일까요??ㅎㅎ;; 못 생긴 모래 바닥에서 자라는 덩굴이라서? 못 생겼다고 하기에는 너무 각이 완벽하게 잘져 있어서 이쁘기만 하네요!ㅎㅎ 잎을 만져보니깐 매끈매끈한게 윤채도 도는게 가시도 없고 딱 덩굴류 식물들은 다 이랬으면 좋겠습니다..ㅎ 예전에는 '털새모래덩굴'도 다른 종으로 분류가 되어 있었는데.. 요즘은 새모래덩굴과 통합이 된 거 같네요? 이 녀석이랑 유연관계가 가까운 같은 새모래덩굴과의 함박이속에 해당하는 '함박이'는 새모래덩굴 처럼 잎의 각이 지지 않고 잎의 모양이 심장형에 가까운(?) 식물이라고 하네요.. 아직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바닷가 쪽 산기슭에서 볼 수 있다는데 제주도 쪽이나 전남 쪽에 분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ㅎㅎㅎ

다음에 꼭 '함박이'도 찾으러 떠나가 봐야겠네요 ㅎㅎㅎ

 

새모래덩굴 - 엽형(잎의 모양)이 3~7각으로 얕게 갈라지는 심장형 모양임.

함박이 - 엽형(잎의 모양)이 넓은 난형으로 각이 거의 지지 않는 심장형 모양임.

 

새모래덩굴의 꽃말은 아직 없네요..? ㅎㅎㅎ 제가 한 번 지어볼께요~ 새모래덩굴 잎 모양이 광대가 올라 갈 정도로 활짝웃는 어린 아이의 얼굴형과 비슷하고, 그런 아이가 쓰고 있는 노란 유치원 모자가 꽃으로 보았을 때.. '웃는 아이의 모자'는 어떨까요??ㅎㅎ

728x90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자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풍등  (0) 2019.07.03
짚신나물(+ 산짚신나물과의 비교)  (0) 2019.07.03
복분자딸기  (0) 2019.07.01
솔나물  (0) 2019.07.01
단풍잎돼지풀(+ 돼지풀과의 비교)  (0) 201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