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박'은 제비꽃목 - 박과 - 가시박속에 속한 식물로 강가, 길가, 농경지, 숲 가장자리 등에서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며,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 생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꽃은 6~9월에 핀다.
수꽃은 황색빛이 도는 흰색으로 잎 겨드랑이에서 나오며, 길이 10cm 정도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암꽃은 연한 녹색으로 잎 겨드랑이에서 머리 모양으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 3~10개가 둥글게 모여나며, 6~9월에 익는데 흰색 가시로 덮여 있다.
잎은 호생(어긋나기)하며, 길이는 3~12cm 정도로 엽병(잎자루)이 있다.
엽신(잎몸)은 거의 전체적으로 봐서는 원형이나, 5~7갈래로 갈라지고 너비는 8~12cm 정도이다.
뿌리에서 3~5개의 줄기가 나온다.
줄기의 길이는 약 4~8m 정도이며, 각이 지고 연한 털이 빽빽하게 난다.
3~4갈래로 갈라진 덩굴손이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기어오른다.
안동오이라고도 불리는 가시박은 생태계교란 생물이라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관속식물들에게 생태적으로 악영향을 주고 있어요.. ㅜㅎㅎㅎ
이제는 우리나라 전역으로 퍼져서 볼 수 있어요.. 겨울에는 간혹 열매만 잘 보이고 꽃이나 잎은 보기가 힘드네요ㅎㅎ
가시박의 꽃말은 '기다림'
[용인] 미국쑥부쟁이(생태계교란 생물)
'미국쑥부쟁이'는 국화목 - 국화과 - 참취속에 속한 식물로 높이 20~120cm 정도로 길가나 들, 하천 주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환경부가 지정한 '생태계교란 생물'에 해당한다. 꽃은 흰색으로
ecohoon.tistory.com
[용인] 서양등골나물(생태계교란 생물)
'서양등골나물'은 국화목 - 국화과 - 서양등골나물속에 속한 식물로 높이 30~130cm 정도로 양지 바른 개방된 숲이나 산림 인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서양등골나물은 환경부 지정 '생태계
ecohoon.tistory.com
단풍잎돼지풀(+ 돼지풀과의 비교)
# 단풍잎돼지풀(촬영지 - 포항) - 2019년 6월 촬영 단풍잎돼지풀(국화목-국화과) - 한해살이풀(귀화식물-생태계교란 생물) 서식환경 : 길가나 빈터 형태 : 높이 1m 이상으로 자라며, 식물체에 거센
ecohoon.tistory.com
환삼덩굴(2019.07.26. -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
# 환삼덩굴(촬영지 - 포항) - 2019년 6월 촬영 환삼덩굴(쐐기풀목-삼과) - 덩굴성 한해살이풀 서식환경 : 길가, 들, 빈터 형태 : 길이 2~4m 정도로 자라며, 밑을 향한 거친 가시가 있다. 잎은 대생(마
ecohoon.tistory.com
애기수영
# 애기수영(촬영지 - 성남) - 5월 촬영 애기수영(마디풀목-마디풀과) - 여러해살이풀(귀화식물-생태계교란 생물) 서식환경 : 경작지 주변 및 숲 가장자리 형태 : 여러 장 모여 나는 뿌리잎은 창모
ecohoon.tistory.com
가시상추
# 가시상추(촬영지 - 양산) - 5월 촬영 가시상추(국화목-국화과)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귀화식물-생태계교란 생물) 서식환경 : 도로변이나 빈터, 쓰레기매립지, 방조제, 항만 등지 형태 : 줄
ecohoon.tistory.com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자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벽오동 (0) | 2021.03.28 |
---|---|
[울산] 석산 (0) | 2021.03.25 |
[양산] 굴피나무 (0) | 2021.03.16 |
[성남] 수원잔대 (0) | 2021.03.14 |
[포항] 큰도꼬마리 (0) | 202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