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어느 산에서 촬영한 '왜모시풀'은 쐐기풀목 - 쐐기풀과 - 모시풀속에 속해져 있는 식물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처음에는 '개모시풀'인 줄 알고 봤었는데.. 잎도 좀 더 둥글둥글하고 거치가 엽저 부분부터 엽두에 이를수록 좀 더 깊어지는 거치의 형태인 것을 보고 왜모시풀로 동정을 했죠..ㅎㅎㅎ
잎은 대생(마주나기)하며, 난산 원형이고 길이는 12~19cm 정도로 끝이 꼬리처럼 다소 길고 밑부분은 둥글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엽저에서 엽두로 이를수록 잎의 가장자리의 톱니가 점차 커진다.
꽃은 연한녹색이고 7~9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잎 겨드랑이에서 나오고 밑부분에 웅화서, 윗부분에 자화서가 달린다.
수꽃은 모여달리며, 4개씩 화피 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통으로 싸여 있으며,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이다.
열매는 길이 2mm 정도인 수과이다.
이번에 '왜모시풀'을 촬영을 했을 때, 아직 꽃 피기는 이른 시기라 꽃을 못보았네요..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시기는 한 창 모시풀속 녀석들이 꽃을 피우고 있던데..ㅎㅎㅎ 근연종으로는 '개모시풀'과 '왕모시풀'이 있는데, 개모시풀보다는 '왜모시풀'은 잎의 두께도 두꺼운 편이고, 잎의 크기도 크며, 거치가 엽두쪽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특징이 있어요 ㅎㅎㅎ 그리고 '왕모시풀'은 왜모시풀과 다르게 톱니가 이중톱니 형태라 잎의 가장자리를 자세히 본다면 구별이 가능합니다ㅎㅎ
개모시풀 - 잎은 대생(마주나기)하고 넓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10cm, 폭 12~18cm이며, 잎끝은 꼬리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음.
왜모시풀 - 잎은 대생(마주나기)하며, 난산 원형이고 길이는 12~19cm 정도로 끝이 꼬리처럼 다소 길고 밑부분은 둥글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고 엽저에서 엽두로 이를수록 잎의 가장자리의 톱니가 점차 커짐.
왕모시풀 - 잎은 대생(마주나기)하며, 난원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10~20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겹톱니가 있음.
왜모시풀의 꽃말은 아직 없는거 같네요..ㅠㅠㅎㅎ 정말 '왜'없을까요?!ㅎㅎㅎㅎㅎ(병맛..)
아 그리고 '모시풀속'에 해당하는 식물은 어떤 식물들이 있는지 알고 싶으시면 아래의 '모시풀속' 태그를 눌러주세요!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자생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홍서나물(2019.06.28.) + 붉은서나물과의 차이점 (2) | 2019.07.16 |
---|---|
괭이싸리(2019.06.28.) (0) | 2019.07.15 |
애기메꽃(2019.06.28.) (0) | 2019.07.15 |
무궁화(2019.06.28.) (0) | 2019.07.14 |
마가목(2019.06.28.) (0) | 2019.07.14 |